자 그럼 이거 시간에는 변수에 효용을 좀 따져 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자 클래스 하나 만들어볼까요 클래스의 이름은 편지 라는 뜻에서 레터 라고 제가 이름을 정하겠습니다.
예를 들어서 우리가 누군가한테 편지를 보내는데 그 편지의 내용이 헬로 이고잉 블라블라 안에 또 이 고잉이 있구요. 뭐 여러 개가 있는 거예요. 이런 상황에서 우리가 이제 여기 있는 이 고잉 이라고 되어 있는 요 텍스트 들이 어 계속 바뀌어야 된다 그럼 이제 문자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하는 방법을 이전에 보긴 했지만 더 좋은 방법은 변수를 이용하는 거예요. 자 여기 있는 이 고잉 이라고 되어 있는 저 값이 어떤 의미인지 에 대한 이름을 준다.
public class Let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name = "egoing";
System.out.println("Hello, "+name+" ... "+name+" ... egoing... bye");
double VAT = 10.0;
System.out.println(VAT);
}
}
자 그럼 요렇게 하게 되면 우리의 관심사는 이제부터는 name 이라는 변수가 어떤 값이냐에 따라서 요 밑에 있는 아웃풋은 저렇게 만들어진 결과는 문제가 없을 것이다라는 것이 확신할 수 있기 때문에 우리의 관심사는 바로 name이라는 변수로 옮겨가게 되는 것이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변수에 값이 이렇게 라면 여기 있는 걸 리체로 바꾸면 네임 변수의 구체적인 값 일억개가 한꺼번에 바뀌는 폭발적인 효과를 갖게 된다 라는 겁니다.
그리고 또 이전엔 여기에 여기가 요렇게 안 적혀 있고 이렇게 써 있었잖아요 이렇게 되면 여기 있는 이 9 이라는 저 값이
뭐 어떤 취지로 사용된 데이터 인지에 대한 데이터 인지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가 않단 말이에요 그런데 우리가 여기를 name 이라고 요렇게 하게 되면 어떻게 되요. 요 변수의 이름을 통해서 아 저 에는 이름이 들어가는 구나 라는 걸 우리가 추론할 수 있겠죠
자 예를 들어서 제가 여기다가 12 라고 이렇게 적었어요. 그럼 저기 있는 저 12 라고 하는 숫자를 지금 저를 제외한 다른 사람이 의미를 파악할 수가 없죠. 그런데 이거를 vat 자 이렇게 적으면 여기에 있는 값은 결국에 뭐예요. 12 잖아요 그쵸 그런데 요 변수에 이름을 vat 이제 부가가치세 라는 뜻이 거든요. 아 부가가치세의 세율을 나타내는 거구나 라는 것을 보는 사람이 파악할 수가 있단 말이죠 그래서 우리가 코딩을 하는 데 있어서 그 코드는 내가 보는 코드이고 미래의 내가 보는 코드이고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이 보는 코드 이기 때문에 그 코드를 딱 봤을때 그 코드의 의미를 빨리 파악할 수 있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것은 정말 정말 중요한 일이에요.
그 어떤 일보다 중요한 일이라는 것을 여러분이 기억하시고 그 때 사용하는 가장 중요한 수단 중의 하나가 변수다. 변수는 값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다 좋은 이름을 써야 된다 라는 것을 꼭 기억해 주시길 바랍니다. 자 이렇게 해서 변수를 통해서 우리가 얼마나 효율적인 코드를 만들 수 있는지를 살펴 봤습니다.
------
* 유튜브 강의에서 자막을 추출해 정리했습니다.
------
* 변수는 값에 이름을 부여하는 것이고 이것은
1. 나를 포함한 모두에게 이 값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려주기 위한 용도
2. 그 안에 있는 값이 무엇인지 정의해서 그 외의 값이 들어가지 않았음을 확신하게 해주는 용도
3. 변수로는 모두가 이해할 수 있는 좋은 이름을 쓸 것!
'생활코딩 > JAVA1'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코딩) JAVA1 - 9.1.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0) | 2021.05.06 |
---|---|
생활코딩) JAVA1 - 8.3. 데이터 타입의 변환 (casting) (0) | 2021.05.06 |
생활코딩) JAVA1 - 8.1. 변수의 정의 (0) | 2021.05.05 |
생활코딩) Java1 - 7. 작심삼일 공학 (0) | 2021.05.04 |
생활코딩) JAVA1 - 6.5. 문자열 다루기 (0) | 2021.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