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코딩/JAVA1

생활코딩) JAVA1 - 9.1. 프로그래밍이란 무엇인가?

youtu.be/ejPBOti5omY

 

자 우리가 지금까지 컴퓨터를 통해서 할 수 있는 일 하나 하나를 살펴봤는데요. 지금부터 이제 프로그래밍 또 프로그램 또 프로그래머 라고 하는 말이 어떤 의미를 갖고 있는가를 살펴 보도록 하겠습니다. 

제가 사전을 찾아 보니까요 프로그램 이라는 말의 어원에 는 그 옛날에 이제 음악회 같은걸 보면 그 마켓에서 공연될 음악들의 목록이 있을 거 아니에요 그게 이제 한번에 연주가 되는 게 아니라 순차적으로 연주가 알겠죠. 바로 이렇게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공연이 진행되는 이런 것들을 프로그램이라고 했었나 봐요. 그 이후로 그런 성격을 가진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들을 프로그램 이라고 부르고 있는 겁니다.

그래서 우리는 지금 컴퓨터 인데 컴퓨터 갖고 있는 각각의 작업들 파일을 읽는다 파일에 쓴다 화면에 뭔가 를 표시한다 이러한 각각의 작업들 하나하나는 그거 하나 하나로는 별로 의미가 없지만 내가 하고자 하는 이 무엇이냐에 따라서 그 일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각각의 작업들이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실행되기 할 수 있다면 그래서 우리는 뭐라고 부를 수 있겠어요. 자동화, 영어로는 오토메이션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죠 그래서 우리가 프로그래밍 이라는 것을 하는 이후로 또 프로그래밍 이라는 언어를 이용하는 이유는 자동화된 처리를 하기 위해서 라고 이야기 할 수 있고. 지금부터 우리는 바로 그 자동화를 하는 방법을 배우는 시간이 지금부터 이제 시작된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겠습니다.

자 그럼 우리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어 봅시다 프로그램 프로젝트 이름은 프로그래밍. 그럴까요. 자 그리고 클래스를 만들어 봅시다. 클래스 의 이름은 프로그래밍. 이렇게 해서 만들었구요 자 여기 다 거리 프로그래밍 이란 것이 무엇인가 또 프로그램은 무엇인가 라는 걸 따져보는 코드를 한번 작성을 해 볼게요

 

public class Programming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1);
		System.out.println(2);
		System.out.println(3);

	}

}


자 제가 이렇게 실용성은 일도 없는 코드를 이렇게 되었습니다 자 이걸 실행하면 어떻게 될까요.화면에 1232 요렇게 출력이 되겠죠. 자 그런데 여러분 상상력을 발휘해서 여기 있는 이 세 줄의 코드가 1억 줄이려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적이 있는데 세 줄의 코드가 저렇게 사소한 코드가 아니라 정말 너무 너무 중요해서 잘못 되면 큰일 나는 코드라고 생각해보세요. 그리고 여기 있는 코드가 하루에도 수십번씩 실행이 되고 그리고 나 혼자 쓰는 것이 아니라 엄청나게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코드라고 상상 해 보란 말이에요.

예 그러면 컴퓨터 갖고 있는 하나하나의 기능. 파일을 읽는다. 파일에 쓴다. 또 화면에 뭔가 표시한다 이러한 하나하나에 기능들을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의 취지에 맞게 이렇게 배치를 하면 컴퓨터가 이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해 주는 걸 통해서 자동화를 할 수 있다는 겁니다. 자 그때 여기 있는 이 각각의 작업들이 언제 끝날 지 예측할 수 없는 작업이라고 해보세요 그럼 어떻게 되나요. 여기 있는 이 작업이 1초 만에 끝날 수도 있고 일 년 뒤에 끝날 수도  있다고 치면. 만약에 1년 게 끝나는 작업이라고 그러면 우리는 절 년 동안 쳐다보고 있어야 돼요. 내가 끝나는 걸 기다렸다가 그 다음 것이랑 지켜야 되니까. 또 그게 아니라 1초 만에 끝나는 거라고 한다면 우리가 이틀이나 삼일 뒤에 를 쳐다 봤을 때 가 끝나 있으면 또 어떻게 돼요. 시간낭비 하게 되잖아요. 그래서 우리가 이제 프로그래밍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순차적으로 실행이 되는 걸 통해서 사람이 잘 못하는 일을 기계에게 위임해서 자동화할 수 있다. 그리고 그것을 해주는 어 컴퓨터 언어 중의 하나가 잡아 고 여러 언어 중에서 가장 유명한 언어 중에 하나가 자바다 라는 것을 기억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

* 유튜브 강의에서 자막을 추출해 정리했습니다.

------

 

 

시간의 순서에 따라서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것들을 프로그램 이라고 한다.
기능들을 우리가 하고자 하는 일의 취지에 맞게 이렇게 배치를 하면 컴퓨터가 이 작업을 순차적으로 실행해 주는 걸 통해서 자동화를 할 수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