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코딩/JAVA1

생활코딩) Java1 - 7. 작심삼일 공학

youtu.be/7D-h_PbJ3I8

이 수업에서는 어제가 선생님 입니다만 저도 다른 영역에서는 학생이 겠죠. 여러분 이제부터 저랑 오랜 시간을 보내야 되잖아요. 그러니까 어 어쨌든 선생님인 제가 공부를 어떻게 생각하고 또 어떻게 수업을 만들었는지에 대한 전략을 소개해 드리는 것도 이쯤에서 의미가 있을 것 같아서 잠깐만 옆길로 좀 빠지게 양해 부탁드릴께요.

우선 제가 학생일 때 전략을 말씀드려 볼게요. 낯선 분야를 공부할 때는 항상 작심삼일이 되거든요. 그런데 저는 작심삼일이 왔을 때 그 순간을 이렇게 는 해석하지 않아요. 나는 의지가 박약해. 대신 이렇게 해석합니다 공부는 그만하라는 뇌의 명령이다. 이때부터 저는 과감하게 진도를 나가지 않습니다. 대신 지금까지 배운 것과 저의 삶의 문제의 접점을 찾기 위해서 노력합니다. 그리고 배운 것만으로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 동분서주
뛰어다니기 거든요. 이것은 내가 쓸모있는 것을 배우고 있다는 것을 뇌에게 증명하는 행위입니다. 이 과정을 반복하면 뇌의 흥분도 는 점점 고조되고 적절한 타이밍에 우리의 뇌가 명령을 내려요. 이제 더 해도 좋다구요. 그때 하는 공부는 지루하지 않고 요 고통스럽지도 않더라구요.

뇌를 이기는 장사는 없습니다. 한편 제가 선생님의 이 때는 이런 전략을 갖고 있어요. 먼저 안타까움에 대한 얘기를 좀 해보고 싶어요. 
제 강의로 공부하는 분들을 보고 있으면 이런 마음이 듭니다. 어 중간에 그만둔 분들은 아무 것도 알 수 없는.. 완주를 하면 무엇부터 해야 될지 모르는 무기력한 상태가 되더라구요. 모두가 불행해 보였습니다 그래서 저는 요즘에 강의를 만들 때는 참여자가 뇌의 명령으로 공부를 그만 둬도 지금까지 배운 것만으로도 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수업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또 더 많은 것을 공부하라는 뇌의 명령이 떨어지면 언제든지 다시 공부를 시작할 수 있는 수업을 만들기 위해서 노력하고 있거든요. 강조해서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우리가 배우는 수업은 하나하나가 그것 자체로 쓸모있는 목적지 입니다. 언제든지 공부는 그만 하고 일을 하십시오. 동시에 더 높은 곳으로 나아가기 위한 길목이기도 합니다. 언제든지 일은 그만 하고 공부를 하세요.

지금까지 여러분은 잡아라 는 거대한 분양에 표면적으로 치면 0.1% 도 안 되는 분량의 공부를 했을 뿐입니다. 계산을 하고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을 아주 조금 배웠을 뿐입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이렇게 단순한 일을 기계에게 시키는데 인류는 45억년이 걸렸어요. 이것만으로도 이것이 처음 등장했을 때 세상이 뒤집혔단 말이에요. 가장 혁명적인 개념을 우리는 접한 겁니다. 그 이후에 등장하는 어렵고 복잡한 것들은 그 역사가 불과 50년도 채 되지 않습니다.

혹시 여기서 공부를 그만 둔다고 해도 여러분은 계산이 필요할 때 더 이상 계산기를 찾지 않을 것입니다. 자바로 클래스를 만들고 내가 알고 있는걸 총동원해서 나의 문제를 해결하려고 할 거거든요 그렇다고 순수하게 자바만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야 되는 것은 아닙니다. 계산기 엑셀 다른 사람의 조언 그리고 우리의 잡아 이러한 것들을 총동원해서 문제를 해결하면 장땡 인 거예요. 그렇게 해결하는 사람이 일 잘하는 사람이고 공부를 잘하는 사람이 아닐까요. 일을 잘하는 사람은 일만 하지 않습니다. 공부를 잘하는 사람은 공부만 하지 않아요 일을 해야 할 때와 공부를 해야 할 때를 스스로 주체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사람이 일과 공부를 다 잘하는 사람이 아닐까요. 

제가 그렇다는 게 아니고요 우리 모두 일과 공부에 균형 감각을 갖춘 사람이 되었으면 좋겠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었습니다. 자 작심삼일이 오신 분들은 여기서 수업에 과감하게 멈추고 지금까지 배운 걸로 삶의 문제 해결 하십시오. 그리고 아직 작심삼일이 오지 않은 분들은 어디 가지 마시고 다음 시간에 굉장히 재미있고 중요한 개념을 배울 거니까 조금만 더 수업을 들어 보십시오.

------

* 유튜브 강의에서 자막을 추출해 정리했습니다.

-----

 

 

반응형